[문자반야]
존재가 곧 변화이다
페이지 정보
담계 이주용 / 2021 년 8 월 [통권 제100호] / / 작성일21-08-04 14:42 / 조회7,634회 / 댓글0건본문
문자반야文字般若 8. 色即是空색즉시공
色即是空색즉시공
空即是色공즉시색
이 세상에 형태가 있는 물질[色]은 모두 인연因緣으로 생기는 것인데 그 본질은 본래 공空한 존재임을 이르는 말로 『반야심경』의 핵심적인 글귀입니다. ‘물질은 빈 것과 다르지 않고 빈 것이 물질과 다르지 아니하며, 물질이 곧 비었고 빈 것이 곧 물질이니, 감각과 생각과 행함과 의식도 모두 이와 같다[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即是空 空即是色].’라고 합니다.
『반야심경』의 진리는 반도체와 인공지능으로 상징되는 현재의 디지털사회를 정확히 표현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기술의 발전으로 다가오는 메타버스(Metaverse.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할 수 있는 디지털 가상세계)의 디지털 시대에는 인간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인간세계의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할 수 있는 디지털 가상세계가 펼쳐진다고 합니다. 큰 글씨는 금문金文으로 쓴 ‘色即是空색즉시공’이며 작은 글씨인 ‘色即是空색즉시공 空即是色공즉시색’은 예서체隸書体입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성철스님의 책 이야기』에서 발견한 소중한 자료
무관심이 오히려 보물을 지켜낸 힘 지난 6월 5일과 6일, 황금연휴임에도 불구하고 백련불교문화재단의 사무국장 일엄스님과 성철사상연구원 서재영 원장 그리고 동국대 불교학술원 서수정 박사와 김…
원택스님 /
-
출가자와 사원 감소에 직면한 일본 불교
사토 아쯔시_ 도요대학 강사 한국도 그렇겠지만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큰 문제 중 하나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다.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고경 필자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