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불교문화재단
본문 바로가기
성철 큰스님
월간 고경
도서출판 장경각
성철사상연구원
성철큰스님육성법문
고경E-book
선림고경총서
로그인
회원가입
홈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메인메뉴
성철사상연구원
인사말씀
연혁 및 소개
연구원 개요
연구원 연혁
운영회칙
연구인력 및 편집위원
성철사상연구원
연구행정
학술지 편집위원
학술 연구 활동
학술 및 연구 활동
학술지 발간
월간 『고경』 발간
학술상 및 후학양성
후원안내
논문투고
논문투고
투고신청
논문투고규정
논문작성규정
논문 자료실
퇴옹학보 E-BOOK
퇴옹학보
백련불교논집
세미나 논문
기타 논문
공지사항 및 소식
학술연구 공지
보도자료 및 기사
사진 갤러리
백련재단 공지사항
퇴옹학을 열어가는 연구기관
성철사상연구원
연구원소개
바로가기
학술 연구 활동
바로가기
논문투고 안내
바로가기
후원안내
바로가기
성철사상 연구원 소식
월간 <고경> 2025년 1월호 업데이트
월간 <고경> 2025년 1월호 보기 성철사상연구원에서 발간하는 월간 <고경> 2025년 1월호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고경> 신년호에는 최초로 공개하는 성철스님의 법문을 비롯해 새롭게 선보이는 기획 기사가 가득합니다. 나아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 온 다채로운 주제의 연재는 불교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불교문화에
2025-01-05
월간 <고경> 12월호 업데이트
2024년 마지막 <고경>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월간 <고경> 보기
2024-12-05
산은 산 물은 물이로다
"스승 살아 실제 22년, 스승 떠나신 지 31년, 스승의 손발이 되었던 제자는 이제 80살이 넘은 노승(老僧)이 됐건만 아직 시봉을 마치지 못했다. 스승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법어로 유명한 현대 한국불교의 거목 성철(性徹)스님, 그분을 53년 동안 시봉든 제자는 원택(圓澤)스님이다. 태산거두(太山巨頭)의 불같은 스승 곁에는 항상 염화미소(拈花
2025-01-17
<불교, 과학과 철학을 만나다>
2024-10-31
논문자료
발간사-퇴옹학보 18집을 발간하며
인류의 문명은 사람들이 서로 만나는 연결과 대중들이 함께 모이는 결집력에 의해 구축되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라는 낯선 역병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단절과 고립의 삶이 2년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다행히 백신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지루한 터널에서 벗어날 희망이 보이고 있는 것은 참으로 다행한 일입니다. (전문은 첨부 파일 참조)
2021-06-30
성철선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시론
본고에서는 성철선의 3대 종지를 고찰하였다. 돈오원각론, 실참실오론, 구경무심론이 그것이다. 돈오원각론은 선문의 돈오와 부처의 원각이 동일한 것임을 강조한다. 돈오원각론은 『선문정로』의 전체 설법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이자 성철선의 제1종지에 해당한다.실참실오론은 수행과 깨달음의 실질성, 직접성, 현재성을 중시한다. 실참실오론은 깨달음의 원리가 아니라 수행과
2021-06-30
성철 큰스님 탄신 100주년 학술포럼
2012년 퇴옹당 성철대종사 탄신 100주년을 기념해 개최된8차에 걸친 학술포럼 논문자료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제1차 학술포럼: 퇴옹성철과 현대 한국불교의 방향 제2차 학술포럼: 한국 근대불교 100년과 퇴옹성철 제3차 학술포럼: 현대 한국 사회와 퇴옹성철철 제4차 학술포럼: 퇴옹성철과 종교의 현실참여 제5차 학술포럼: 돈점사상의 역사와
2021-03-21
백련불교논집 제16집 2006년
백련불교논집 제16집 2006년 특집 : 성철스님 열반 13주기 추모 학술회의 “1960년대 전후 상황과 성철스님의 역할” 1. 개회사 / 원택스님 2. 백일법문과 근대불교학 / 조명제 3. 성철스님 법문에서의 중도와 과학 / 양형진 4. 1960년대 한국불교와 성철의 활동 : 봉암사결사와 해인총림 / 김종인 5.
2012-04-18
2020년 추계학술연찬회 동영상
퇴옹학보 E-BOOK
<불교와 유교의 대화>
성철사상연구원 · 성균관대학교 공동학술세미나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