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 추모 기사]
그리운 임
페이지 정보
고은 / 1998 년 9 월 [통권 제11호] / / 작성일20-05-06 08:33 / 조회17,086회 / 댓글0건본문
紅流千古吟이라!
오늘 퇴옹당 대종사께서 그 모습 여의신 지
다섯 해 되는 날입니다
그 헌걸찬 모습 어디입니까
또한 오늘은 당신을 그리워하는
둥근 돌덩어리 놓아
당신의 뜻 저마다 심장 속에
뜨겁게 아로새기는 날입니다
어디입니까
산호베개 위 흐르는 두 줄기 눈물이여
한 줄기는 그대를 그리워함이요
한 줄기는 그대를 원망함이로다
숲 사이에서 단풍잎 태워 술을 데우고
바위 위 푸른 이끼 걷고 시를 새긴다
당신께서 노래하신 대로 더덩실 춤추신 그대로
우리들 네 가지 권속들 모여
이 여여한 잔치에 오롯이 서 있으니
어찌 슬프지 않고 기쁘지 않으리오
그 슬픔
그 기쁨
이 산중 골짝에 세워
한 편의 시가 된다면
바위마다 푸른 이끼 도로 덮여서
당신의 서릿발 높은 푸르른 옷자락 아니리오
고개 드니 산과 물이었습니다
이제껏 그것 모르고
떠내려 오는 숱한 삶이었다가
당신의 한갓 하품에 놀라
새로운 세상 활짝 열어젖혀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었습니다
한번 들어가면 나올 구멍 꽉 메우고
한번 나가면 들어갈 쥐 한 마리 없고
들어감도 나감도 없는
허공 중에
철 모르는 해오라기 놀고 있음이여
퇴옹당 성철 대종사 각령이여
당신께서 세상 하직하시는 날
온 나라는 하나였습니다
온 세상은 다 엉겨 하나였습니다
성철스님
성철스님
성철스님
그 이름이 산천초목이었습니다
성철 사리 1백과
그 이름이 이 강산 풍운이었습니다
당신께서 세상 하직하신 뒤로도
온 나라 찢어지고
온 세상 아수라 아귀판이어도
돌아갈 곳은
당신과 멀리 가까이
함께 가는 그 길입니다
수미 정상 큰 구슬에 불 밝히니
날 저물거든
그 불 들고 가야 할 길입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출가자와 사원 감소에 직면한 일본 불교
사토 아쯔시_ 도요대학 강사 한국도 그렇겠지만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큰 문제 중 하나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다.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고경 필자 /
-
『성철스님의 책 이야기』에서 발견한 소중한 자료
무관심이 오히려 보물을 지켜낸 힘 지난 6월 5일과 6일, 황금연휴임에도 불구하고 백련불교문화재단의 사무국장 일엄스님과 성철사상연구원 서재영 원장 그리고 동국대 불교학술원 서수정 박사와 김…
원택스님 /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