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삶, 나의 기도]
나의 꿈은 백련암 포교사
페이지 정보
권명주 / 1998 년 6 월 [통권 제10호] / / 작성일20-05-06 08:33 / 조회12,882회 / 댓글0건본문
권명주(延照華, 부산 문현초등학교 5학년)
만약 내가 지금 집에 있었다면 두 다리 쭉 뻗고 부모님과 버릇없이 굴며 빈둥거리고 있었을 텐데, 이렇게 백련암 수련법회에 와서 한 송이 여린 연꽃 불자가 되어 마음속 깊이 조그마한 불교에 관한 방을 넓혀 가고 있다.
수련법회 기간 중 삼천배가 가장 어려웠지만, 여러 스님들과 지도법사님 그리고 언니 오빠들이 잘 도와주셔서 별 어려움 없이 수련법회를 끝낼 수 있기에 깊이 감사드린다.
한 가지 아쉬운 게 있다면, 성철 큰스님께서 살아계실 적에 왔더라면 더 큰 불심, 더 많은 생각을 얻을 수 있었을 텐데, 그땐 너무 무섭다는 생각에 오질 못했다. 큰스님께서 굉장히 엄하시다는 말에 겁부터 낸 것이 너무나 후회스럽다.
그런데 이미 지난 일을 가지고 후회하면 뭐할까?

나는 후생에 성철 큰스님 같은 분과 함께 지내면서 나고 죽고, 죽고 나며 계속 불교를 알리는 포교사가 될 것이다.
백련암 수련법회를 소개해 주신 학교 선생님께 감사드리고, 수련법회에 보내 주신 부모님께 진짜 진짜 감사드린다.
삼천배의 엄청난 고통 때문에 ‘지심귀명례’라는 소리만 들어도 눈이 감기고 고개가 돌아가지만, 부모님의 고마움과 남을 위한 생활 등 많은 것을 배우고 간다.
지난밤 꿈에는 큰스님께서 오셔서 뭐라고 말씀하시고 가셨다. 자세히 말하고 싶지만 단지 내 꿈이기에 말하지 않으련다.
다시 한 번 스님들과 법사님께 감사드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백련암을 알리는 자랑스런 백련암의 포교사가 되고 싶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출가자와 사원 감소에 직면한 일본 불교
사토 아쯔시_ 도요대학 강사 한국도 그렇겠지만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큰 문제 중 하나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다.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고경 필자 /
-
『성철스님의 책 이야기』에서 발견한 소중한 자료
무관심이 오히려 보물을 지켜낸 힘 지난 6월 5일과 6일, 황금연휴임에도 불구하고 백련불교문화재단의 사무국장 일엄스님과 성철사상연구원 서재영 원장 그리고 동국대 불교학술원 서수정 박사와 김…
원택스님 /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