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삶, 나의 기도]
아내에게 바친 삼배
페이지 정보
고경 필자 / 1998 년 6 월 [통권 제10호] / / 작성일20-05-06 08:33 / 조회12,848회 / 댓글0건본문
‘쉬고 싶다. 벗어나고 싶다. 떠나고 싶다.’ 일이 있는 사람이든 없는 사람이든 일상의 그림자에서 자유로워지고 싶은 것은 매일 반일게다. 그렇다면 어디로 가야 할까. 지도를 놓고 한참을 들여다 봐도 마땅한 곳이 없다. 길어봤자 4박 5일, 평범한 우리들에겐 그 이상의 휴가도 없지 않은가. 이때, 솔바람 물소리에 마음을 붙들어매고 벽과 마주 앉는 사람들이 있다. 비오 듯 땀을 쏟고 다리를 절룩이며 절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 진한 땀 내음을 함께 맡으며 앉은 자리, 섯는 자리에서 나를 발견하는 기쁨을 누리는 사람들이 있다. 매년 여름·겨울방학과 휴가철이 되면 해인사 백련암에서도 그 환희의 날들이 한 달 여 이어진다. 수련회를 무사히 마치고 그 감회를 기록한 글을 소개하고자 한다. - 편집부

주창길
너무도 부끄럽고 가슴이 시려서 지금도 떨리는 마음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어느 때에 자신의 모습이 이토록 초라하리라고 느끼기나 했겠습니까. 숱한 시간의 흐름 속에 그저 자신의 당위성만 내세우기에 급급했고, 애시당초 아내의 말이나 주위의 권유 따위는 아무런 의미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전성기였을지도 모를 일련의 시간들이 지날 즈음, 제 생활에도 서서히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굽힐 줄 모르는 제 성격만큼이나 잘 되어 가던 그간의 사업들이 까닭 없이 하나하나 기울고 말았습니다.
말 그대로 순식간에 실업자의 신세가 되고 말았습니다. 아내는 절에서 하는 수련회라도 다녀오면 훨씬 마음이 편할 것이라며 수련회 참가를 종용했지만 제겐 도리어 남을 원망하는 독한 마음만이 가득할 뿐이었습니다. 그러자 아내는 아들만이라도 수련회를 다녀오라며 권했습니다. 지난 여름, 수련회를 다녀온 아들 녀석은 자주 어른티를 내면서 저를 나무라는 것이었습니다. 기세등등한 가장이 졸지에 아내와 아들로부터의 협공에 꼼짝을 못하게 된 것입니다.
과연 무엇이 저토록 내 아이를 변하게 했을까 하는 의문과 갈등 속에 내키지 않는 마음으로 겨울 수련회에 동참하게 된 것이 지난 1월의 일이었습니다. 난생 처음 겪는 절 생활에 조금은 어리둥절했습니다. 수련회 첫날, 어디에서고 삼배도 안 해 본 사람이 삼천배의 괴롭힘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아들 녀석도 한 수련회인데…’ 하는 부끄러운 마음으로 조금씩 백련암의 분위기에 젖어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그 날 저녁, 절대 금하는 통제망을 무사히 뚫고 주차장에 있는 공중전화 부스에 서게 되었습니다. 전화기 저편에서 아내의 목소리가 울리자 제 입에서 처음 나온 말은 뜻밖에도 “고맙다”는 말이었습니다.
참으로 신기한 일이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미운 사람이 있다면 아내라고 여겼을 정도였는데, 왜 그렇게 고마워했는지 지금도 알 수가 없습니다. 아니 이젠 알 필요가 없습니다. 더 큰 삶을 위하여 수련회를 하면서도 아내만을 생각하고 있는 자신이 우스꽝스럽기도 했지만 제겐 새로운 세상을 얻게 해 준 수련회였기 때문입니다.
수련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저는 아들 녀석이 그랬듯이 집에 계신 부처님을 향해 삼배를 했습니다. 아쉽게도 부처님과의 맞 삼배였지만….
이젠 저희 집에 보배가 세 개로 늘었습니다. 늘 아침이면 아내와 아들과 함께 원상을 마주하고 일과를 하는 좌복이 마련되었기 때문입니다.
미천한 중생이 어엿한 가정으로서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스님들과 법사님께 고마움의 인사를 올립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성철스님의 책 이야기』에서 발견한 소중한 자료
무관심이 오히려 보물을 지켜낸 힘 지난 6월 5일과 6일, 황금연휴임에도 불구하고 백련불교문화재단의 사무국장 일엄스님과 성철사상연구원 서재영 원장 그리고 동국대 불교학술원 서수정 박사와 김…
원택스님 /
-
출가자와 사원 감소에 직면한 일본 불교
사토 아쯔시_ 도요대학 강사 한국도 그렇겠지만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큰 문제 중 하나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다.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고경 필자 /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