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 큰스님 추모 기사]
퇴옹당성철대선사진영찬(退翁堂性徹大禪師眞影贊)
페이지 정보
편집부 / 1996 년 9 월 [통권 제3호] / / 작성일20-05-06 08:32 / 조회10,185회 / 댓글0건본문
퇴옹당성철대선사진영찬(退翁堂性徹大禪師眞影贊)
강진인 김호석이 삼가 그리다
턱이 풍부하고 이마가 넓어 바라보기에 근엄하나 대하면 온화하다
인간세상 팔십여 세에 종적은 숨어 있어도 이름은 드높구나
바른 법을 깨닫는데 복잡한 이론은 필요치 않으니
어찌 지해로써 안다고 하랴, 단박에 모든 어둠을 파헤쳤다
산 밖에 산이 없고 물 밖에 물이 없으며
참으로 빈 것은 빈 것이 아니며 말하지 않는 데 말이 있다
오매일여라, 마음에는 이것과 저것이 없으니
홀로 선의 즐거움을 맛보았고 법의 기쁨에 만족하였다
자비로운 얼굴은 이미 사라졌으나 남기신 모습이 여기에 있으니
호석공의 빛나는 붓이 그 정신을 전하기에 충분하구나
나는 여기에 찬을 지어 훗사람들에게 밝게 보여주리라
서하인 임창순이 삼가 짓고 아울러 쓰다
※ 이 글은 지난해 12월 1일 남양주군 지곡서당에서 청명 임창순 옹이 짓고 화폭 위에 직접 쓰신 큰스님의 진영찬입니다. 이 일은 불교와 유교의 최고봉인 두 분이 정신적으로 교류하는 것이며, 당대의 큰 인물의 초상화에 다른 큰 인물이 인물평을 기록하던 옛 문화적 전통을 살려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任옹은 “이 시대 스승으로 추앙받던 성철스님의 면모와 사상을 집약적으로 표현하려 했다"고 찬을 짓고 쓰신 소감을 피력하셨습니다. 이 지면을 빌어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네팔 유일의 자따까 성지 나모붓다 사리탑
카트만두에서 남동쪽으로 52km 떨어진 바그마띠(Bagmati)주의 까브레빠란 삼거리(Kavrepalan-Chowk)에 위치한 ‘나모붓다탑(Namo Buddha Stupa)’은 붓다의 진신사리를 모…
김규현 /
-
깨달음으로 가는 바른 길
올 초 백련불교문화재단과 BTN 불교TV는 성철 종정예하께서 “부처님께 밥값했다.”라고 하시며 흔연히 펴내신 『선문정로』의 저본이 되는 큰스님의 육성 녹음을 <깨달음으로 가는 바른 길>이…
원택스님 /
-
잊혀진 불국토의 섬 몰디브
많은 한국인이 몰디브로 여행을 떠난다. 코발트 빛 해안으로 신혼부부들을 이끈다. 남북으로 길게 이어진 26개의 환초로 이루어지는데 섬의 총수가 무려 2,000여 개(1,192개)에 달한다고 한다. …
주강현 /
-
운문종의 법계와 설숭의 유불융합
중국선 이야기 53_ 운문종 ❽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문명을 구가하던 당조唐朝가 멸망하고, 중국은 북방의 오대五代와 남방의 십국十國으로 분열되었다. 이 시기에 북방의…
김진무 /
-
초의선사의 다법과 육우의 병차 만들기
거연심우소요 58_ 대흥사 ❻ 초의선사의 다법을 보면, 찻잎을 따서 뜨거운 솥에 덖어서 밀실에서 건조시킨 다음, 이를 잣나무로 만든 틀에 넣어 일정한 형태로 찍어내고 대나무 껍질…
정종섭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