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탁소리]
청천벽력 같은 원적 소식
페이지 정보
원택스님 / 2019 년 6 월 [통권 제74호] / / 작성일20-05-29 10:39 / 조회7,723회 / 댓글0건본문
원택 스님 | 발행인
4월30일 오후 4시쯤 “해인총림 전계사 연암당 종진 대종사께서 오늘 오후 3시17분에 입적하셨습니다.”는 연락이 왔습니다. 율원장 서봉 스님에게 연락하여 대강의 소식을 듣고 망연자실해졌습니다. 지난 4월20일 소납의 사형되시는 해우당 원융 대선사의 마지막 재에 종진 대종사께서 법주가 되어주셔서 힘찬 요령소리와 엄숙한 음성으로 극락왕생의 마지막 재를 회향해 주시던 그 고고하고 당당한 모습이 떠오르며, 종진 대종사의 부음은 감당할 수 없는 무상함으로 노한 파도처럼 가슴 속에 밀려왔습니다. 사형님은 2~3년 병석에 계셔서 자주 찾아뵙는다 생각은 했지만 마음 같이 자주 찾아뵙지 못한 세월이 이제는 미안함이 되어 49재를 마치고도 허허로운 마음을 가누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정정해 보이시던 종진 대종사께서 생각지도 못하게 갑자기 원적에 드셨다는 소식은 맑은 하늘의 날벼락보다도 더 가슴이 아프고 놀라운 소식이었습니다.
5월4일 영결식 날 해인승가대학 제4회 졸업생 대표로 보광 스님께서 옛날을 회상하시며 조사를 하셨습니다. “4.19 뒤 종진 스님은 동화사에서, 나는 범어사에서 이곳 해인사 강원에 입방하여 사미과부터 수의과까지 졸업하는 동안 시험 때마다 선두를 다투며 경쟁하던 일,…… 대적광전 높은 지붕 위에 짚신을 신고 올라가 기왓장 사이의 잡초 뽑던 일, 숭산리 해인사 농장에 모심기 하던 일, 밤 10시에 진대밭골에 산불이 나 밥을 져다 먹으며 밤새워 불 끄던 일, 모든 일이 주마등 같이 지나갑니다. 그 후로 각기 뜻한 바 있어 대전, 대구, 부산, 서울 등지로 흩어져 불사와 전법도생에 노력하여 왔으나, 스님께서는 계속하여 60여 년 해인총림에 사시며 상하의 신망과 존경을 한 몸에 지니며, 율원장·율주를 거쳐 해인총림 전계사로 종단의 계율을 진작시키신 이 시대의 참 스승이셨다고 감히 종진 대종사 영전에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종진 대종사께서는 1970년 해인승가대학 5대 학장, 1981년 10대 학장, 1989년 12대 학장에 취임하시어 3차례, 12년 동안 학장의 시절을 보내시며 승가교육에 진력하셨습니다. 종진 대종사님의 열반하신 후에 5대 승가대학장 하시던 시기 전후 제자로 중천 스님, 법등 스님, 재원 스님, 장산 스님, 인호 스님, 법조 스님, 태원 스님, 경선 스님, 원학 스님, 영조 스님, 선룡 스님, 무관 스님, 장윤 스님, 수진 스님 등이 있었습니다. 종단의 지도자가 되어 다방면에 걸쳐 불교중흥에 진력하고 있는 이 분들이 종진 대종사 영전에 제자의 예를 갖추는 모습에 큰 감동을 받았으며, 이러한 선배 스님들께 감사하고 감사할 따름입니다. 도반으로서 몇 일간 해인사 계시며 밤낮으로 애틋한 정을 보여주신 설정 스님께도 고맙고 고마운 마음이 가득합니다.
원융 스님은 그래도 사형으로서 잘 모셨다고는 생각지 않지만, 한 번 이라도 가서 대화도 나누고 손이라도 만지며 위로라도 드린 세월이 있어, 원적에 드셔도 보내는 온기라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50년 가까운 세월을 지나며 지도받던 종진 큰스님이 떠날 때, 병문안 한번 가보지 못하고 야윈 손이라도 따스하게 한번이라도 만져볼 시간 없이 우리 곁을 이렇게 훌쩍 벼락 치듯 떠나시니, 더욱 허전하고 텅 빈 마음을 주체할 수가 없습니다. 종진 대종사시여! 큰스님을 따르던 모든 중생들과 후대의 중생들을 제도하시어 해탈세계에 들게 하여주십시오. "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화마가 할퀴고 간 산청에서 방생법회를 봉행하며
2001년에 성철 종정예하의 출생지에 생가를 복원하고 그 앞쪽에는 대웅전을 지었습니다. 경내로 들어오는 입구쪽에는 2층 목조기와집을 지었습니다. 2층 목조건물 1층 기둥은 직경 40cm가 넘는 돌기…
원택스님 /
-
홍성 상륜암 선준스님의 사찰음식
충남 홍성의 거북이 마을에는 보개산이 마을을 수호합니다. 보개산 숲속에는 12개의 바위가 있고 하나하나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산자락의 끝에는 작은 암자 상륜암이 자리하고 있습니…
박성희 /
-
티베트 난민들의 귀의처 포카라의 빼마찰 싸캬 사원
포카라 근교 햄쟈(Hemja) 마을에 자리 잡은 따시빨켈(Tashi Palkhel) 티베트 난민촌 캠프 위에 자리 잡은 빼마찰 사원은 포카라-안나푸르나 간의 국도에서도 눈에 잘 띈다. 사진…
김규현 /
-
하늘과 땅을 품고 덮다[函蓋乾坤]
중국선 이야기 50_ 운문종 ❺ 문언文偃이 창립한 운문종의 사상적 특질은 ‘운문삼구雲門三句’에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종문십규론宗門十規論』에서는 “소양韶陽(…
김진무 /
-
성당시대의 법화경변상도
성당 시기에는 중국의 국력이 절정에 달했고, 실크로드가 유례없이 번영했기 때문에 하서와 중원 간의 교류가 매우 빈번했다. 중국의 불교 사원에 나타난 대규모의 〈법화경변상도〉는 이 시기의 막고굴 〈법…
김선희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