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빛의 말씀]
마음이 물들지 않으면 지옥도 없다
페이지 정보
성철스님 / 2024 년 8 월 [통권 제136호] / / 작성일24-08-05 10:54 / 조회4,034회 / 댓글0건본문
지옥은 있는가 없는가?
“지옥이 있습니까, 지옥이 없습니까?”
“있기도 하고 또한 없기도 하느니라[亦有亦無].”
“어째서 있기도 하고 또한 없기도 합니까?”
“마음을 따라 짓는 바 일체 악업[隨心所造 一切惡業]이 곧 지옥이 있음이요, 만약 마음이 물들지 않으면[若心無染] 자성이 공한 까닭에 곧 지옥이 없느니라.”
마음이 일체 망념을 따라 모든 악업을 지으면 분명히 지옥이 있고, 마음이 일체 망념을 다 끊어서 청정하면 자성이 공하여 일체 상대를 찾아볼 수 없으니 지옥이 없습니다. 우리가 공부를 성취해서 자성을 완전히 깨치고 보면 지옥이 없고 중생이 망념으로 엎치락뒤치락 업만 지으면 지옥이 분명히 있습니다.

중생과 불성의 차이
“죄를 지은 중생도 불성이 있습니까?”
“또한 불성이 있느니라.”
“이미 불성이 있을진댄 바로 지옥에 들어갈 때에 불성도 함께 들어갑니까?”
“함께 들어가지 않느니라.”
“바로 지옥에 들어갈 때에 불성은 다시 어느 곳에 있습니까?”
“또한 함께 가지고 들어가느니라.”
“이미 함께 들어갈진댄 지옥에 들어갈 때 중생이 죄를 받음에 불성도 또한 함께 죄를 받습니까?”
“불성이 비록 중생을 따라 함께 지옥에 들어가지만[雖隨衆生同入] 중생이 스스로 죄의 고통을 받는 것이요[自受罪苦], 불성은 원래 고통을 받지 않느니라[佛性元來不受].”
지옥·천당은 중생의 업연業緣으로 지옥·천당이 있는 것이지 자성에 있어서는 지옥·천당이 없습니다. 중생이 아무리 자기 업연으로 지옥에 가고 지옥고를 받는다 해도 지옥고는 업이 업으로 받는 것이기 때문에 자성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그러니 아무리 천당에 있다 해도 불성은 천상락을 받지 않는 것이고 아무리 지옥에 있다 해도 불성은 지옥고를 받지 않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천당이니 지옥이니 하는 것은 중생 업연의 환幻이지 실제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미 함께 지옥에 들어갔을진댄 무엇 때문에 지옥고를 받지 않습니까?”
“중생이란 모양이 있음[有相]이니 모양이 있는 것은 이루어지고 무너짐이 있음이요, 불성佛性이란 모양이 없음[無相]이니 모양이 없는 것은 곧 공한 성품이니라[卽是空性也]. 그러므로 진공의 성품은 무너짐이 없는 것이니라[眞空之性 無有壞者].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허공에 땔나무를 쌓으면 땔나무는 스스로 무너지나 허공은 무너지지 않음과 같으니 허공은 불성에 비유하고 땔나무는 중생에 비유한 것이니, 그러므로 함께 들어가나 함께 받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모양[相]이란 업연이며, 이루어지고 무너짐[成壞]이란 생멸입니다. 그러므로 중생은 업연이 있으므로 생멸이 있고 불성은 업연이 없으므로 생멸이 없습니다. 그래서 중생이 지옥에 들어가면 중생업으로 인해 모양이 있으므로 무너지고 이루어짐이 있어서 지옥고를 받으나, 중생의 불성은 모양이 없으므로 이루어지고 무너짐이 없어서 거기에 조금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중생의 업이란 생멸이 있어 시작이 있고 끝이 있으니 천당에 가서 낙을 받기도 하고 지옥에 가서 고를 받기도 하지만, 불성, 근본자성은 생멸이 없어 시작이 없고 끝이 없으니 천당에 가서 낙을 받아도 아무 영향이 없고 지옥에 가서 고를 받아도 아무 영향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이 들어갔으나 같이 받지 않는다고 한 것이니, 같이 받지 않기 때문에 들어가지 않는 것과 똑같은 것입니다. 설사 고를 받는다 해도 중생업이 받는 것이지 불성이 받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 두 갈래가 나는 것 같지만 이것은 중생을 위해서 하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확철히 깨쳐서 ‘무명의 실다운 성품이 곧 불성이요 허깨비 같은 빈 몸이 법신[無明實性卽佛性이요 幻化空身卽法身]’이라는 것을 바로 알면 이것은 일종의 웃음거리가 되고 말 것입니다.
- 성철스님의 『돈오입도요문론 강설』 중에서 발췌.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선과 차의 결합으로 탄생한 선원차
거연심우소요 60_ 대흥사 ❽ 우리나라 차문화를 이해하는 데는 일본 차 문화의 역사도 알 필요가 있다. 일본식민지 시기에 일본식 다도가 행해진 적이 있고, 요즘에는 일본차도 많이 마시고, …
정종섭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