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페이지 정보
박우현 / 2023 년 9 월 [통권 제125호] / / 작성일23-09-04 19:57 / 조회4,684회 / 댓글0건본문
국보, 신라시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
통도사 금강계단은 인도에서부터 유래한 구조물이다. 의정義淨의 『대당서역구법고승전』에는 나란타사에 이와 같은 계단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중앙에는 작은 탑이 있고 그 탑 안에는 불사리를 봉안하고 있다고 묘사하고 있다. 중국에는 당나라의 도선道宣이 정업사淨業寺에 이와 같은 계단을 건립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당나라에서 불사리를 구하여 귀국한 자장율사가 통도사에 이 계단을 최초로 조성하였다. 현재의 통도사 계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친 것이다. 중앙에는 불사리를 모신 석종형石鐘形 부도가 있고, 사방 평면에는 2단의 석단石壇으로 되어 있다.
-2009년 5월 24일 현봉 박우현 촬영.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지리산 무쇠소 사찰음식 일기
지리산 무쇠소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입니다. 소처럼 묵묵히 땅을 일구는 성실함, 무쇠처럼 꺾이지 않는 의지, 지리산처럼 깊고 넉넉한 품이 그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 그 이름은 수행자의 …
박성희 /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 강설⑥ - 환향곡還鄕曲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10 환향곡還鄕曲이라. 불교에서는 대개 본래 자기의 근본 마음을 고향이라 합니다. 그래서 환향은 본 고향에 돌아온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지금 타향에서 타향살이 하고 …
성철스님 /
-
화엄학적 사유를 받아들여 일체현성의 선리 제창
중국선 이야기 55_ 법안종 ❷ 중국이 오대·십국으로 남방과 북방으로 분열된 시기에 조사선 오가五家 가운데 마지막인 법안종이 문익에 의하여 출현하였다. 법안종의 명칭…
김진무 /
-
선과 차의 결합으로 탄생한 선원차
거연심우소요 60_ 대흥사 ❽ 우리나라 차문화를 이해하는 데는 일본 차 문화의 역사도 알 필요가 있다. 일본식민지 시기에 일본식 다도가 행해진 적이 있고, 요즘에는 일본차도 많이 마시고, …
정종섭 /
-
성철스님, 인공지능 기술로 새롭게 나투시다
백련암에서조차 열대야로 밤잠을 설치던 날도 잠깐, 어느새 가을을 품은 솔바람이 환적대를 넘어와 염화실 마루를 쓸고 지나갑니다. 며칠 전 끝난 백중 아비라기도의 열기도 아직은 백련암 뜨락을 넘어서지 …
원택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