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금릉 덕천리 석조관음보살입상
페이지 정보
박우현 / 2022 년 3 월 [통권 제107호] / / 작성일22-03-04 09:53 / 조회5,889회 / 댓글0건본문
경북유형문화재 제205호. 고려전기. 경북 김천시 봉산면 덕천리 용화사 소재.
상부는 파손되어 소실되었지만 전체적인 형태는 잘 남아 있다. 배 모양[舟形]의 거신광擧身光을 배경으로 보살상이 크게 조각되어 있고, 좌우에 동자상이 작게 표현되어 있다. 몸에 비해 크게 표현된 머리에는 삼산관三山冠 형태의 보관을 쓰고 있으며, 중앙에는 화불化佛이 조각되어 있다. 좌우에 약 항아리를 들고 있는 작은 동자상을 배치한 것은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으로 평가된다. (2022년 1월 17일, 현봉 박우현 촬영)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사찰음식, 축제가 되다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불교 전래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오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과 불교의 불상생 원칙과 생명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박성희 /
-
인도 데라둔 민될링 닝마빠 사원
3년 전 『고경』 연재를 시작하면서 티베트 불교에 관련된 걸출한 인물과 사찰 그리고 종단을 고루고루 섞어 가려고 기획은 하였다. 그러나 이미 지나온 연재 목록을 살펴보니 더러 빠진 아이템이 있었는데…
김규현 /
-
『성철스님의 책 이야기』에서 발견한 소중한 자료
무관심이 오히려 보물을 지켜낸 힘 지난 6월 5일과 6일, 황금연휴임에도 불구하고 백련불교문화재단의 사무국장 일엄스님과 성철사상연구원 서재영 원장 그리고 동국대 불교학술원 서수정 박사와 김…
원택스님 /
-
출가자와 사원 감소에 직면한 일본 불교
사토 아쯔시_ 도요대학 강사 한국도 그렇겠지만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큰 문제 중 하나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다.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고경 필자 /
-
운문삼종병雲門三種病
중국선 이야기 52_ 운문종 ❼ 운문종을 창시한 문언의 선사상은 다양하게 제시되지만, 그의 선사상은 남종선과 그 이전에 출현한 조사선의 사상적 근거인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