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읽는 성철 스님]
수행의 발자취 - 봉암사
페이지 정보
편집부 / 2014 년 6 월 [통권 제14호] / / 작성일20-08-04 10:57 / 조회9,751회 / 댓글0건본문

문경 희양산 자락에 자리잡은 봉암사는 성철 스님을 거론함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곳 중 하나다.‘부처님 법대로 살자’를 주창하며 옛 총림의 법도를 살림과 동시에 선풍을 진작시키고 종단사에 역사적인 획을 긋는 <봉암사결사>를 단행한 것이다.
<봉암사결사>에는 당대의 내놓으라 하는 큰스님들이 대거 동참하여 위기를 맞은 한국불교를 바로 세우고자 분투하였다. 이들은 훗날 종단의 요직을 맡으며 불교중흥의 큰 족적을 남겼다.
성철 스님은‘공주규약(共住規約)’이라는 18개 조항의 행동지침을 직접 만들고 솔선수범함으로써 대중이 함께 결사수행의 의지를 굳건히 다지도록 하였는데 당시는 물론 지금의 불교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며 수행자들을 일깨우고 있다.
불교개혁과 정법수호의 상징성을 갖고 있는 청정수행도량 봉암사. 당시의 엄한 규율을 그대로 이어 1년에 단 한번 부처님오신날만 일반인들에게 개방되고 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히말라야를 넘나들었던 신라의 순례승들
2001년 케룽현에서 4km 떨어진 거리에 있는 종까마을에서 국보급 가치가 있는 고대석각古代石刻이 발견되어 중국 고고학계를 흥분시켰던 일이 있었다. 바로 〈대당천축사출명〉이란 비문(주1)이다. 이 …
김규현 /
-
대화엄사의 약사여래 마하연
화엄華嚴은 ‘꽃 화華’와 ‘엄숙할 엄嚴’이 만나 이루어진 말로, 온 세상이 한 송이 거대한 꽃처럼 피어나는 진리의 장엄함을 뜻합니다. 직역하면 이러하지만 화엄이라는 말 속에는 존재의 우주적 깊이와 …
박성희 /
-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光陰莫虛度]
중국선 이야기 56_ 법안종 ❸ 법안종을 세운 문익은 청원계를 계승한 나한계침羅漢桂琛의 “만약 불법을 논한다면, 일체가 드러나 있는 것[一切現成]이다.”라는 말로부터…
김진무 /
-
신라 말의 정치적 혼란과 선법의 전래
태안사 ❶ 태안사泰安寺는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있다. 죽곡면에서 태안로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 태안사 계곡으로 접어들어가면 동리산桐裏山 깊은 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정종섭 /
-
명종대 선교양종의 복립을 둘러싼 갈등
태종대부터 중앙 정치 무대에서 불교의 권한은 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 세종대까지 국가 공인의 종파는 7종에서 2종(선종과 교종의 양종)으로 축소되었고, 국가 관리의 사원 역시 242사寺로 제한되었다가…
이종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