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기사]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페이지 정보
박우현 / 2022 년 7 월 [통권 제111호] / / 작성일22-07-05 09:32 / 조회5,526회 / 댓글0건본문
보물 제75호, 통일신라, 경남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로 55-1.

큰 바위에 앞면을 돌출되게 양각한 마애불磨崖佛로 바위의 모양 자체를 광배光背로 활용하고 있다. 민머리 위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육계)이 있으며, 둥근 얼굴은 온화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어깨는 넓게 벌어져 있고, 팔과 가슴은 넓지만 볼륨이 약화되어 차분한 느낌을 준다. 수인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끝은 땅을 향하고 있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석굴암 본존불 계열의 양식을 이어받은 작품으로 보이지만 석굴암 불상보다는 사실성이 줄어들어 통일신라 후기 불상의 양식을 보여준다. (2022년 1월 7일 현봉 박우현 촬영).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만다라화-3
한지 위에 채색, 금니, 30×30cm, 2024. 작가: 도현.
고경 필자 /
-
『성철스님의 백일법문과 유식』 출간 외
서종택 시인의 책 『설레는 마음으로 오늘도 걷습니다』 봉정식 서종택 시인의 선禪 에세이집 『설레는 마음으로 오늘도 걷습니다』 출간 기념 봉정식이 지난 9월 20일 대구 정혜사 문수전에서 열…
편집부 /
-
불생선의 주창자 반케이 요타쿠
일본선 이야기 23 동아시아에서 유교와 불교는 실질적인 경쟁자이자 동반자다. 유교는 불교로 인해 내면세계를 더욱 강화했고, 불교는 유교로 인해 현실 감각이 깊어진다.…
원영상 /
-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光陰莫虛度]
중국선 이야기 56_ 법안종 ❸ 법안종을 세운 문익은 청원계를 계승한 나한계침羅漢桂琛의 “만약 불법을 논한다면, 일체가 드러나 있는 것[一切現成]이다.”라는 말로부터…
김진무 /
-
‘마음 돈오’를 열어주는 두 문① - 직지인심 대화문
선종의 선문禪門이 천명하는 돈오견성은 ‘이해 돈오’가 아니라 ‘이해를 굴리는 마음 돈오’다. 그리고 마음 돈오는 단지 관점이나 사상의 이론적 천명이 아니라 실제로 체득할 수 있는 마음 국면이며 검증…
박태원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